[부동산학개론] 부동산학 각론 - 1. 부동산 경제론
1. 부동산 경제론 1) 수요란 일정기간 동안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(향후/유량개념) ① 유효수요는 향후 구매의사(실수요+투기수요) + 지불능력(대출능력 포함) ➁ 잠재수요는 향후 구매의사(지불능력 없음) → 수요크기 측정에 포함 안됨 ➂ 본원수요는 직접 충족하려는 재화에 대한 수요(주택 수요) ➃ 파생수요(간접수요)는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(토지 수요) 유량변수(일정기간 기준)★ 저량변수(일정시점 기준)★ 수요와 공급, 소득, 투자, 국민총생산, 수출과 수입, 인구 변동량, 주택거래량, 신규주택 공급량, 임대료, 지대수입 자산(부채+자본), 주택보급율, 순자산, 부채, 국부, 외환보유액, 통화량, 실물자산, 인구, 도시인구, 주택재고량, 중고주택 공급량, 부동산 가격 2) 수요량 변화와 수요변화 ①..
2023. 6. 23.
[부동산학개론] 부동산학
1. 부동산 개념 1) 법적 개념 : 무형적 측면 ① 협의 : 토지와 그 정착물(계속적, 항구적 부착, 이동이 곤란) 독립 정착물 사회,경제적 거래 객체 건물, 명인방법 갖춘 수목집단(한 그루도 가능), 농작물, 입목(등기된 수목의 집단, 한 그루는 불가능) 종속 정착물 수목(다년생 식물), 교량, 터널, 담장 정착물이 아닌 동산 가식의 수목, 판자집, 공중전화박스, 가로등 ➁광의 : ;협의의 부동산 + 준부동산 등기, 등록의 공시방법 자동차, 건설기계, 선박(20톤), 항공기, (입목을 넣기도) 부동산 + 동산의 집합물 수목(다년생 식물), 교량, 터널, 담장 권리 어업권 2) 경제적 개념 : 무형적 측면으로 상품, 자산, 자본, 생산재(생산요소),소비재 등 3) 기술적 개념 : 유형적 측면으로 공간,..
2023. 6. 2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