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부동산 공인중개사 시험 핵심정리92

[세법] 국세 - 3. 양도소득세 3. 양도소득세(국외양도, 이월과세, 조정대상지역, 납세절차 중요) 1) 과세대상 및 양도유형 ① 일반 개인(건설업자 ×, 부동산업자 ×, 임대업자○)이 부동산, 부동산에 관한 권리, 기타 자산, 주식 및 출자지분, 파생상품(부/부/기/주/파)을 유상으로 사실상 이전하여 발생한 소득에 부과하는 분류과세 소득 - 국세, 직접세, 인세에 해당, 주소지 세무서에 신고 - 일시적, 우발적 양도에 대해 과세 - 예정신고와 확정신고납부 - 초과누진세율, 차등비례세율로 구성 - 분할납부규정 ➁ 과세대상(열거주의)은 부/부/기/주/파(암기) 부동산 · 토지, 건물 부동산에 관한 권리★ · 지상권, 전세권, 등기된 부동산임차권★(채권이 물권화됨) 등 부동산 용익권리 · 당첨권, 토지/주택상환채권, 계약금, 분양권 등 부.. 2023. 8. 8.
[세법] 국세 - 2. 소득세 2. 소득세(납세의무, 납세지, 납세의무지 중요) 1) 총설 ① 개인의 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부과되는 조세 - 국가가 부과하는 국세로 납세의무자와 담세자가 일치하는 직접세 - 원칙적으로 개인이 과세단위로 일정기간 발생한 소득에 대해 개인별로 과세 · 단 부인규정에 한해 연대납세의무 적용 - 공동사업에 관한 소득금액은 사업장별로 계산, 사업자별로 납세의무★ · 공동소유인 자산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자산별로 계산, 거주자별로 납세의무 - 피상속인의 소득세는 상속인이 납세의무를 지되, 피상속인과 상속인의 소득세는 구분 - 최저 6%에서 최고 42%까지 초과누진세율 적용 ➁ 납세의무자와 납세지 - 납세의무자 개인이 과세기간(1.1~12.31일) 소득을 익년 5.1~31일까지 신고 납부 - 거주자가 비거주자로 .. 2023. 8. 8.
[세법] 주택 재산세와 주택 종부세 비교 [주택에 대한 재산세와 종부세 비교] 구분 재산세(지방세) 종부세(국세) 주택기준 주거용 부동산(범위는 더 넓음-별장) 주거용 부동산(별장 불포함) 과세방법 주택별로 과세 인별로 과세 과세표준 공정시장가액 60% 공정시장가액 80% 세율 비례세, 누진세(0.1~0.4% 4단계) 누진세(0.5~2% 5단계) 상한 105, 110, 130% 150% 관할관청 시군구(주택 소재지) 세무서(소유자 주소지) 납부기한 7.16~31일, 9.16~30일, 20만원 이하는 7월 12.1~15일 기타 지방교육세, 소액징수면제 농특세 ※ 상기 핵심정리는 2018년 제 29회 부동산 공인중개사 시험 공부를 토대로 작성한 내용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 2023. 8. 7.
[세법] 국세 - 1. 종합부동산세 1. 종합부동산세(1문제) 1) 특징 ① 국세, 보통세, 직접세, 보유세, 응능세, 모두 인세구조 ➁ 과세표준과 세액을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이 부과하는 정부부과 세목 ➂ 전국의 토지 또는 주택가액을 소유자별로 합산하여 초과누진세율로 과세 - 재산세 중 누진세가 적용이 되는 물건(토지와 주택)에 한해서만 종부세 적용 - 별도합산 80억, 종합합산 5억, 주택은 6억 초과 시에만 · 종부세에서 ~건축물, 사치성, 별장, 분리과세는 모두 해당 없음에 유의 2) 과세기준 ① 6.1일 재산세와 동일하게 납세의무 성립 ➁ 납세지 - 개인 또는 비법인 단체는 소득세 납세지(또는 주소지, 주소지 없으면 거소지) - 법인은 법인세 납세지 ➂ 주택과 토지(종합합산+별도합산)에 대한 종부세의 세액을 합한 금액 ➃ 비과세 규정.. 2023. 8. 7.